1. 이와 유사한 사건을 겪고 있나요?
    2. 지금 로그인하면 노무사에게 내 사건의 가능성을 상담받을 수 있어요
    3. 바로가기
      1. 노동위원회
      2. 전북2023부해133
      1. 처분문서인 근로계약서를 반증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인정해야 하며,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는 기간의 만료로서 계약관계가 종료된다고 판정한 사례
      1. 기간의 정함이 없이 근로하던 근로자가 기간을 정해 서면으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였고 그 과정이 근로자의 의사에 반한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므로 이 사건 근로계약서는 처분문서로서 유효하며, 근로계약서의 계약기간은 2023. 5. 26.까지로 봄이 타당하다. 근로자는 사용자가 2023. 5. 2. 계약기간 만료를 통지한 것이 해고라고 주장하나, 이는 기간이 만료되면 근로관계가 당연히 종료됨을 알리는 일종의 관념의 통지로서 해고로 볼 수 없으며 이 사건 근로관계는 계약기간 만료로 종료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계약의 갱신기대권은 인정되기 어려우며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2023. 5. 23. 계약갱신을 요청하였으나 근로자가 이를 거절한 것으로 보면 근로자에게 근로관계를 계속하려는 의사는 없었다고 보이는바, 이는 근로자의 의사에 반해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해고와는 차이가 있다. 위 사실들을 종합하여 판단할 때 이 사건 해고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해고의 정당성 여부에 대해서는 더 나아가 살펴볼 필요가 없다.
      1. 글을 더 읽으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2. 로그인 제공혜택/서비스
        1. 승리 가능성

          노무사가 분석한 가능성
        2. 유사사례

          다른 사람이 경험한 내 사례 찾기
    1. 노무N 로그인 네이버 로그인 카카오톡 로그인 구글 로그인

      처리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세요

    1. 오류내용
    1. 확인내용
    2. 아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