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와 유사한 사건을 겪고 있나요?
    2. 지금 로그인하면 노무사에게 내 사건의 가능성을 상담받을 수 있어요
    3. 바로가기
      1. 노동위원회
      2. 경기2024공정4
      1. 교대노조의 절차적 공정대표의무 위반이 없고, 단체협약 내용에 노동조합 간 차별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더라도 합리적 이유가 있어 실체적 공정대표의무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사례
      1. 신청 노조는 2023년 임금협약 과정에서 교대노조가 절차적 공정대표의무를 위반하였고, 임금협약 내용도 공정대표의무 위반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① 신청 노조의 교섭요구안에 임금인상과 관련한 구체적 요구가 담겨있지 않았던 점, ② 단체교섭 과정의 동적인 성격에 비추어 2023. 11. 5. 간담회 당시 잠정합의에 이르렀다고 보기 어려운 점, ③ 교대노조는 단체교섭 과정에서 일정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교대노조가 절차적 공정대표의무를 위반하였다는 보이지 않는다.

        임금협약 내용에서 ① 과거 정률 인상과 정액 인상을 교차하며 상황에 따라 임금 인상이 결정되어 왔던 바, 정액 인상이라는 이유만으로는 신청 노조 조합원을 차별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점, ② 일급제 근로자의 설·추석 명절 2일의 유급휴일을 추가하면서 연봉제 근로자가 제외된 것은 월급에 유급휴일에 근무한 것으로 의제하여 유급휴일 수당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인 점, ③ 특정직 직원들이 특정 노동조합에 편중하여 가입된 결과, 노동조합 간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직종의 차이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뒤따르는 근로조건의 차이는 노동조합 간 차별로 보기 어려운 점 등을 종합적으로 보면, 교대노조와 사용자가 체결한 임금 협약의 내용은 공정대표의무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
      1. 글을 더 읽으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2. 로그인 제공혜택/서비스
        1. 승리 가능성

          노무사가 분석한 가능성
        2. 유사사례

          다른 사람이 경험한 내 사례 찾기
    1. 노무N 로그인 네이버 로그인 카카오톡 로그인 구글 로그인

      처리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세요

    1. 오류내용
    1. 확인내용
    2. 아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