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카오톡 공유
    2. 온라인 노무상담
    1. ❓소득세 감면 & 두루누리 지원금

      등록일 : 2025-08-13




      1. 인사헬퍼와
        함께하는
        임금관리 매뉴얼



        1. 키워드 검색




          1. ✨임금관리 매뉴얼
          2. ❓NET제 & 세전역산
          3. ❓노무제공자의 고용/산재보험
          4. ❓소득세 감면 & 두루누리 지원금
          5. ❓시급/일급/주급제의 임금관리
          6. ❓실소득과 다른 임금대장
          7. ❓일용직과 국민연금
          8. ❓임금대장 작업순서
          9. ❓작업결과 direct/직접 메일 보내기
          10. ❓퇴직금 중간정산
          11. ❓퇴직연금(DC) 부담금
          12. ❓퇴직정산 (소득세/4대보험)
          13. ❓휴직자 임금관리







      1.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 두루누리지원금



        업무를 수행하는 위치
        - 직원클릭시 나타나는 우측보조창의 공제항목 탭
        - [임금체계] - 기본공제 탭

        사용배경
        소득세 원천징수세율을 변경하거나(세액조정, 중소기업 감면 등), 연금/고용보험 관련 두루누리지원금을 적용받는 이유로 매월 금액에서 차감적용하려는 경우 사용합니다.


        방법 1 ; 감액율 설정
        상단의 업무를 수행하는 위치로 진입한 다음, 해당항목의 감액률을 적용합니다. 소득세의 경우 90.0(단위:%)을 입력하거나 국민연금에서 80.0(단위:%)를 입력합니다.

        지원금 상한액
        두루누리 지원금 상한액을 적용받는 경우에는 현재월 고지보험료를 기준으로 정확한 지원률(예:80%)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지원률을 미세조정하여 변경해야 하며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10원단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으로 감면액을 적용할 경우 [임금체계], [임금대장] 메뉴에서 감액적용 대상자와 감액률이 별도로 표기됩니다.


        방법 2 ; 별도의 공제항목 생성
        별도의 공제항목을 추가하고 명시적으로 금액을 감액하는 방식으로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감면(소득세), 지원(연금)이라는 공제항목을 추가한 다음 감면되거나 지원되는 금액을 음수(-) 처리하여 공제금액을 삭감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명시적으로 표기되고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퇴직정산 과정에서 해당 금액이 누락되거나 집계에서 제외되는 문제, 예를들어, 소득세가 50,000원 감면(소득세)가 40,000원으로 되어 매월 10,000원의 소득세를 원천징수/납부했으나, 퇴직정산을 통한 집계시에는 추가등록한 감면(소득세)의 금액은 반영되지 않고 소득세 50,000원을 원천징수/납부한 것으로 처리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용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다른 글 목록 등록일
로딩중입니다

처리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