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카오톡 공유
    2. 온라인 노무상담
    1. ❓계약기간 만료와 정년 도달

      등록일 : 2025-08-19




      1. 인사헬퍼와
        함께하는
        임금관리 매뉴얼



        1. 키워드 검색




          1. ✨임금관리 매뉴얼
          2. ❓NET제 & 세전역산
          3. ❓계약기간 만료와 정년 도달
          4. ❓노무제공자의 고용/산재보험
          5. ❓소득세 감면 & 두루누리 지원금
          6. ❓수습기간 임금액 자동계산
          7. ❓시급/일급/주급제의 임금관리
          8. ❓실소득과 다른 임금대장
          9. ❓일용직과 국민연금
          10. ❓임금대장 작업순서
          11. ❓작업결과 direct/직접 메일 보내기
          12. ❓퇴직금 중간정산
          13. ❓퇴직연금(DC) 부담금
          14. ❓퇴직정산 (소득세/4대보험)
          15. ❓휴직자 임금관리






      1. 계약기간 만료와 정년도달



        업무를 수행하는 위치
        - [직원관리] - 직원선택시 나타나는 우측보조창
        - [사업장관리] - 임금대장 탭
        - [사업장관리] - 정년 탭


        기대효과
        만료일자(유기계약직의 경우 계약종료일, 정년의 경우 정년의 도달시점)가 기록된 직원은 만료일자가 포함된 월의 임금대장을 작성할 때, (작업자의 요청 없이도) 퇴직자로 자동 기록됩니다. 이 기능은 퇴직누락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계약기간의 만료 설정
        계약기간의 만료일자가 있는 경우, 직원을 등록할 때 또는 직원을 수정할 때 계약만료일자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의 단절 없이 근로계약이 갱신될 경우에는 해당 직원의 계약만료일에 계약만료일을 추가하여 추적관리할 수 있습니다.

        계약만료일에 도달하여도 자동 퇴직처리 기능을 키거나 끌 수 있습니다. [사업장 관리] - [임금대장] 탭에서 계약직 자동퇴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정년의 설정
        정년제도를 운영하는 회사의 경우 매년, 매월 직원의 연령을 비교하여 정년도달여부를 체크하지 않아도, 사전에 설정된 옵션으로 자동퇴직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사업장 관리] - [정년]탭에서는 ⓵ 정년의 도달일자(정년퇴직 상세일자)의 설정옵션과, ⓶ 정년도달시 자동퇴직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설정을 활성화한 경우 임금대장을 작성하는 임금산정기간에 정년에 도달하는 직원이 있는 경우 정년도달일자를 퇴사일로 자동 기록됩니다.




  1. 다른 글 목록 등록일
로딩중입니다

처리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