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카오톡 공유
    2. 온라인 노무상담
    1. ❓월급의 일할계산

      등록일 : 2025-08-25




      1. 인사헬퍼와
        함께하는
        임금관리 매뉴얼



        1. 키워드 검색




          1. ✨임금관리 매뉴얼
          2. ❓NET제 & 세전역산
          3. ❓계약기간 만료와 정년 도달
          4. ❓노무제공자의 고용/산재보험
          5. ❓비정기적 수당의 통상임금(통상임금 추가반영)
          6. ❓소득세 감면 & 두루누리 지원금
          7. ❓수습기간 임금액 자동계산
          8. ❓시급/일급/주급제의 임금관리
          9. ❓실소득과 다른 임금대장
          10. ❓월급의 일할계산
          11. ❓이메일 direct 발송
          12. ❓일용직과 국민연금
          13. ❓임금대장 작업순서
          14. ❓임금명세서의 발송/관리
          15. ❓퇴직금 중간정산
          16. ❓퇴직연금(DC) 부담금
          17. ❓퇴직정산 (소득세/4대보험)
          18. ❓휴직자 임금관리






      1. 월급의 일할계산



        업무를 수행하는 위치
        - [사업장관리] - 임금계산기준
        - [임금대장]


        기대효과
        월급제 근무자가 중도입퇴사하는 경우(SMAPRT 계산으로 일할계산하는 경우 포함) 월급의 일할계산 기준을 요구사항에 맞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설정
        특별한 설정이 없다면 월급의 일할계산 비율은 해당 임금대장의 1임금산정기간 중에서 해당일자(분자)를 총일수(분모)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예를들어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가 1임금산정기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8. 24.에 입사한 직원의 경우 8일(24~31일) / 31일의 방식을 이용합니다.

        설정할 수 있는 옵션
        기본설정 외에 선택가능한 옵션은 3가지가 있습니다. 매월 임금산정기간 동안 ⓵ 토요일과 일요일을 제외하는 방법, ⓶ 토요일과 일요일, 그리고 공휴일을 제외하는 방법, ⓷ 지정된 고정일자로 나누는 방법


        지정된 고정일자로 나누는 방법
        지정된 고정일자로 나누는 방식은 일할계산할 때 일관된 기준을 사용할 수 있으나, 중도입퇴사자의 월급을 계산할 때에는 잘못계산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22일로 지정하여 나누고자 설정하였는데, 해당 근무자가 임금산정기간의 시작일자(예:1일)입사한 경우에는 당초 월급보다 더 많은 금액이 계산(월급(220만원) / 지정된 고정일자(22일) * 근무일수(31일))될 수 있습니다.





  1. 다른 글 목록 등록일
로딩중입니다

처리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리세요